싱가포르 정부는 다양한 바우처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우처는 저소득층 가구나 특정 사회적 요구가 있는 개인들에게 생활비, 의료비, 주거비, 교육비 등을 지원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싱가포르 정부의 바우처 프로그램은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시민들의 복지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1. 싱가포르 정부 바우처 프로그램 종류
싱가포르 정부는 여러 가지 바우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민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돕고 있습니다.
주요 바우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GOV.UK 바우처 프로그램 (GOV.UK Vouchers)
지원 대상: 저소득 가구 및 취약 계층
주요 지원 항목: 주택, 교육, 건강 관리 등을 위한 바우처
특징: 일정 소득 이하의 가구에 대한 직접적인 재정 지원을 제공합니다.
2) Workfare Income Supplement (WIS)
목적: 저소득 근로자에게 추가적인 소득 지원을 제공
대상: 싱가포르 시민 중 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근로자
바우처 종류: 현금, CPF(중앙국민기금) 적립, 교육 및 훈련 지원
지원 방법: 근로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현금과 CPF 기여금으로 나누어 지급됩니다.
3) Public Assistance Scheme (PAS)
목적: 극빈층 가구에게 생활비를 지원
대상: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없는 시민
지원 항목: 주거비, 음식, 의료비 등
특징: 극빈층 가구가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4) ComCare (Community Care) Assistance
목적: 저소득층 가구 및 취약 계층을 지원
대상: 소득이 적거나 없는 가구 또는 노인, 장애인 등
지원 항목: 생활비, 의료비, 교육비, 주택 지원 등
특징: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가구에 현금 지급과 서비스 지원이 제공됩니다.
5) SG United Jobs and Skills Package
목적: 실업자 또는 저소득 근로자를 위한 지원
대상: 구직자 및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훈련 바우처
지원 항목: 취업 지원, 훈련, 직업 개발 및 기술 훈련 바우처
특징: 직업 훈련과 취업 기회를 제공하여 노동 시장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6) Child Development Account (CDA)
목적: 자녀 양육 비용 지원
대상: 0~6세 자녀를 둔 부모
지원 항목: 자녀의 교육, 건강 관리, 유아용품 구입에 사용할 수 있는 정부 보조금
특징: 싱가포르 정부는 부모가 자녀를 위한 비용을 저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7) Senior’s Mobility and Enabling Fund (SMF)
목적: 노인의 의료비와 모빌리티 지원을 위한 바우처
대상: 65세 이상 노인
지원 항목: 보행 보조기구, 장기 요양 서비스, 의료비 지원 등
특징: 모빌리티 보조기구 및 재활 치료를 위한 지원금을 제공합니다.
2. 바우처 신청 방법
각종 바우처를 신청하려면 보통 온라인 신청 또는 정부 기관 방문을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은 대부분 싱가포르 정부의 공식 웹사이트나 관련 기관에서 이루어지며, 일부 바우처는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시민에게 자동으로 지급됩니다.
온라인 신청:
e-Service Portal을 통해 바우처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각종 바우처에 대한 세부 정보는 싱가포르 정부 웹사이트에서 제공됩니다.
기관을 통한 신청:
사회복지기관이나 노인 복지 센터, 기타 정부 부처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omCare 프로그램은 사회 복지 서비스 기관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바우처 수령 후 사용
바우처를 받은 시민은 제공되는 바우처를 특정 목적에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hild Development Account의 바우처는 자녀의 교육비나 건강 관리에만 사용해야 하며,
Workfare Income Supplement는 CPF 적립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라이브 인 싱가포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Marina Bay Sands) (0) | 2025.03.04 |
---|---|
싱가포르에서 주변국가여행 (0) | 2025.02.15 |
싱가포르의 범죄처벌, 태형 (0) | 2025.02.15 |
싱가포르의 가사도우미, 메이드 (0) | 2025.02.15 |
싱가포르의 대중교통 시스템 (0) | 2025.02.11 |